안녕하세요! 윈도우 11로 넘어오고 나서 컴퓨터가 뭔가 어색하고 느려진 것 같다는 생각 해보신 적 없으세요? 저도 그랬거든요. 깔끔해진 디자인은 좋은데, 뭔가 자꾸 뜨는 위젯이나 알림들이 너무 거슬리고, 부팅 속도도 예전만 못한 느낌이었어요. 😫 그래서 제가 직접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여러 가지 설정을 만져봤습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컴퓨터를 더 빠르고 쾌적하게 만들어 줄 필수 설정 6가지를 아주 쉽고 간단하게 알려드릴게요! 😊
📜 오늘의 이야기 순서
작업 표시줄 아이콘 왼쪽으로 바꾸기 ⬅️
윈도우 11을 처음 사용하면 가장 어색한 부분이 바로 작업 표시줄 아이콘이 가운데에 정렬되어 있다는 점이에요. 윈도우 10에 익숙했던 분들이라면 시작 버튼이 왼쪽에 있는 게 훨씬 편할 텐데요, 다행히 이 설정은 아주 간단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설정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작업 표시줄의 빈 공간에 마우스 우클릭을 하고 [작업 표시줄 설정]을 클릭합니다.
- [작업 표시줄 동작] 메뉴를 확장합니다.
- ‘작업 표시줄 맞춤’을 ‘가운데’에서 ‘왼쪽’으로 변경하면 끝!
시작 메뉴와 위젯 정리하기 🧹
윈도우 11의 시작 메뉴에는 ‘추천’ 항목에 최근 실행한 파일이나 앱들이 표시돼요. 이게 참 편할 때도 있지만, 불필요하게 개인 정보가 노출되는 느낌이 들 때도 있고, 그냥 깔끔하게 쓰고 싶을 때가 많죠. 이 ‘추천’ 목록은 쉽게 없앨 수 있습니다.
- [설정] 앱으로 들어가서 [개인 설정] > [시작]으로 이동합니다.
- ‘최근에 추가된 앱 표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앱 표시’, ‘시작에 추천파일,파일 탐색기에 최근파일,점프 목록에서 항목 표시’를 모두 끄기로 설정합니다.
그리고 시작 메뉴 옆에 있는 위젯 버튼을 누르면 뉴스나 날씨 같은 정보가 뜨는데, 이걸 안 쓰면 그냥 비활성화해버리는 게 좋습니다. 작업 표시줄에서 위젯 아이콘을 우클릭한 후 ‘작업 표시줄에서 제거’를 누르면 끝!
위젯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데이터를 동기화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면 꺼두는 것이 시스템 자원을 절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빠른 시작’ 기능을 끄는 이유 💡
윈도우 11에는 ‘빠른 시작’이라는 기능이 있어요. 말 그대로 부팅 속도를 빠르게 해준다고 해서 기본적으로 활성화되어 있는데, 이게 사실 문제가 되는 경우가 많아요. 완전히 종료되지 않은 상태로 절전 모드와 비슷하게 만들어주는 기능이라, 드라이버 충돌 같은 오류를 일으킬 때가 있거든요.
솔직히 요즘 컴퓨터 SSD 쓰면 부팅 속도가 충분히 빠르잖아요? 굳이 이 기능 때문에 오류를 겪을 필요는 없다고 생각해요. 그래서 저는 이 기능을 제일 먼저 끕니다.
방법은 아주 간단해요.
- [제어판]으로 들어가서 [전원 옵션]을 검색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전원 단추 작동 설정’을 클릭합니다.
- ‘현재 사용할 수 없는 설정 변경’을 누른 후, ‘빠른 시작 켜기’를 체크 해제하고 변경 사항을 저장하면 됩니다.
개인 정보 보호 설정 🔒
우리가 PC를 사용하는 동안 마이크로소프트는 여러 가지 개인 정보를 수집합니다. 광고 ID를 생성하거나, 앱 사용 기록 등을 수집하는 거죠. 개인 정보 보호가 중요한 요즘, 이런 설정들은 꼭 한 번씩 확인해 보는 게 좋겠죠?
[설정] 앱에서 [개인 정보 및 보안] 메뉴로 들어갑니다. 여기에서 여러 가지 설정을 조절할 수 있어요.
- ‘일반’ 탭에서 ‘내 광고 ID를 사용하도록 허용’, ‘웹사이트에서 내 언어 목록에 액세스하도록 허용’ 등을 끄기로 설정합니다.
- ‘앱 사용 권한’ 탭에서는 위치, 카메라, 마이크 등에 대한 앱별 접근 권한을 관리할 수 있어요. 사용하지 않는 앱의 권한은 꺼두는 게 안전합니다.
모든 앱의 권한을 무작정 끄면 일부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꼭 필요한 앱(예: 화상 통화 앱의 마이크/카메라 권한)은 켜두는 것을 잊지 마세요!
파일 확장명 및 숨김 파일 보이기 🔍
파일 탐색기를 쓸 때, 확장자가 안 보여서 불편했던 경험 있으시죠? 파일 확장명은 ‘.exe’, ‘.docx’처럼 파일의 종류를 나타내는 이름인데, 이게 보여야 파일이 어떤 종류인지 바로 알 수 있어요. 특히 악성 파일은 확장자를 숨겨놓는 경우가 많아서 보안상으로도 꼭 켜두는 게 좋습니다.
파일 확장자와 숨김 파일을 보이게 하는 방법은 아주 간단합니다.
- 파일 탐색기를 열고 상단 메뉴의 [보기] 탭을 클릭합니다.
- ‘표시’ 항목에서 ‘파일 확장명’과 ‘숨김 항목’에 체크하면 됩니다.
이제 헷갈리는 파일 확장자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어지겠죠?
눈이 편한 ‘다크 모드’ 설정 🌙
밤에 컴퓨터를 오래 사용하다 보면 눈이 금방 피로해지잖아요. 윈도우 11의 기본 라이트 모드는 흰색 배경이 많아서 눈부심이 심할 수 있어요. 그럴 때 ‘다크 모드’를 사용하면 눈의 피로를 확 줄일 수 있습니다.
다크 모드는 단순히 색상만 바꾸는 게 아니라, 전체적인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어둡게 바꿔주기 때문에 훨씬 더 편안한 느낌을 줍니다.
[설정] 앱으로 들어가서 [개인 설정] > [색] 메뉴를 클릭합니다. 여기서 ‘모드 선택’을 ‘어둡게’로 바꿔주기만 하면 끝!
윈도우 11, 이렇게 설정하세요!
자주 묻는 질문 ❓
어떠셨나요? 오늘은 윈도우 11 설치 후 꼭 바꿔야 할 필수 설정 6가지를 알아봤습니다. 이 설정들만 잘 적용해도 내 컴퓨터가 훨씬 더 빠르고 안전해진 느낌을 받으실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