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스마트폰을 샀을 때의 그 설렘, 다들 기억하시죠? 그런데 막상 전원을 켜보면 처음 보는 정체불명의 앱들이 화면을 가득 채우고 있어 당황스러울 때가 많습니다. 지우려고 해도 ‘삭제’ 버튼은 보이지 않고 ‘사용 중지’만 가능해서 답답했던 경험, 저만 그런 거 아니죠? 오늘은 바로 이 골칫덩어리, ‘선탑재 앱’들을 속 시원하게 정리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

선탑재 앱, 도대체 왜 있는 걸까? 🤔
선탑재 앱은 스마트폰 제조사나 통신사가 기기를 출시할 때 미리 설치해 놓은 앱을 말합니다. 스마트폰의 기본 기능을 위해 꼭 필요한 시스템 앱도 있지만, 솔직히 한 번도 안 쓰는 앱이 대부분이죠. 이런 앱들은 소중한 저장 공간을 차지하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며 배터리를 소모하거나 스마트폰의 전반적인 성능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모든 선탑재 앱을 삭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전화, 메시지 등 스마트폰의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 앱은 삭제가 불가능하며, 삭제해서도 안 됩니다. 오늘 우리는 사용하지 않는 ‘선택 앱’들을 정리하는 데 집중할 거예요.
기본적인 삭제 및 사용 중지 방법
가장 먼저 시도해 볼 수 있는 가장 간단한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안드로이드폰(갤럭시 등)과 아이폰에 공통적으로 적용됩니다.
- 앱 아이콘 길게 누르기: 홈 화면이나 앱 서랍에서 삭제하고 싶은 앱 아이콘을 2~3초간 길게 누릅니다.
- ‘설치 삭제’ 또는 ‘앱 삭제’ 선택: 메뉴가 나타나면 ‘설치 삭제’ 또는 ‘앱 삭제’를 선택합니다. 만약 이 옵션이 보이지 않는다면, 해당 앱은 기본적으로 삭제할 수 없는 선탑재 앱입니다.
- ‘사용 중지’ 활용하기: ‘설치 삭제’가 없다면 ‘사용 중지’를 선택하세요. 앱이 완전히 삭제되진 않지만, 앱 목록에서 사라지고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지 않아 성능 저하를 막을 수 있습니다.
‘사용 중지’는 앱을 비활성화할 뿐, 저장 공간을 차지하는 앱 데이터는 그대로 남아있습니다. 저장 공간 확보가 목적이라면 아래에서 소개할 고급 방법이 필요합니다.
루팅 없이 삭제하기 (ADB 활용법) 🚀
자, 이제부터가 진짜입니다. ‘사용 중지’만으로는 만족할 수 없는 분들을 위해, 루팅 없이 PC를 이용해 선탑재 앱을 깔끔하게 삭제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조금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차근차근 따라 하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 준비물 및 사전 설정
- PC (Windows 또는 Mac)
- 스마트폰과 PC를 연결할 USB 케이블
- 개발자 옵션 및 USB 디버깅 활성화:
- ‘설정’ → ‘휴대전화 정보’ → ‘소프트웨어 정보’로 이동
- ‘빌드번호’ 항목을 7번 연속으로 터치하여 개발자 옵션 활성화
- ‘설정’ 메인 화면에 생긴 ‘개발자 옵션’ 메뉴에서 ‘USB 디버깅’을 켜주세요.
삭제 과정은 아래 3단계로 진행됩니다.
-
1단계: PC에 ADB 설치하기
ADB(Android Debug Bridge)는 안드로이드 기기를 제어하는 도구입니다. 구글에서 ‘SDK 플랫폼 도구’를 검색하여 다운로드하고, 압축을 풀어 PC의 찾기 쉬운 위치에 폴더를 옮겨주세요. -
2단계: ADB 실행 및 기기 연결 확인
스마트폰을 PC에 연결한 뒤, ADB 폴더에서 명령 프롬프트(CMD)나 터미널을 실행합니다. 그리고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기기가 잘 연결되었는지 확인하세요. 스마트폰 화면에 ‘USB 디버깅 허용’ 팝업이 뜨면 ‘허용’을 눌러주세요.adb devices(List of devices attached 아래에 기기 코드가 뜨면 성공!)
-
3단계: 앱 패키지명 확인 및 삭제 명령어 입력
삭제할 앱의 정확한 ‘패키지 이름’을 알아야 합니다. 플레이스토어에서 ‘App Inspector’와 같은 앱을 설치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패키지명을 확인했다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앱을 삭제합니다.pm uninstall -k –user 0 [삭제할 앱의 패키지명](예: pm uninstall -k –user 0 com.samsung.android.app.camera)
시스템 구동에 필수적인 앱을 잘못 삭제하면 스마트폰이 불안정해지거나 벽돌이 될 수 있습니다. 삭제하려는 앱이 정말 불필요한지, 다른 사용자들도 안전하게 삭제했는지 인터넷 검색을 통해 꼭! 확인한 후에 진행하세요. 만약 문제가 발생하면 공장 초기화를 통해 복구할 수 있습니다.
앱 삭제가 어렵다면? 도움 받을 수 있는 기관 🏛️
직접 삭제하는 것이 어렵거나, 선탑재 앱으로 인해 다른 피해를 입었다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이 있습니다. 다만 이 기관들이 직접 앱을 삭제해주는 것은 아니며, 각각의 역할이 다르다는 점을 꼭 기억해주세요!
1. 와이즈 유저 (Wise User) 홈페이지 활용
와이즈 유저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운영하는 공공 사이트로, 삭제되지 않는 선탑재 앱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제보할 수 있는 창구 역할을 합니다.
- 삭제제한 선탑재 앱 제보: 삭제가 불가능한 앱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다른 사용자들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습니다.
- 정보 제공: 일반적인 앱 삭제 방법이나 관련 정책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중요: 와이즈 유저는 직접적인 앱 삭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 아니라, 정보 공유 및 제보를 위한 곳입니다.
2. 온라인피해365센터 활용
이곳은 선탑재 앱 자체를 삭제하는 곳이 아니라, 온라인 서비스 이용 중 발생한 다양한 피해에 대한 전문 상담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 상담 범위: 재화/서비스, 통신, 콘텐츠 관련 피해, 개인정보 침해, 사이버 범죄 등
- 지원 내용: 피해 구제를 위한 상담 및 관련 기관 연계, 대응 방안 안내
핵심: 만약 특정 선탑재 앱으로 인해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금전적 피해가 발생했다면 이곳에서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히 ‘앱을 지우고 싶다’는 기술적인 문제는 상담 범위가 아닙니다.
직접 요청 vs 기관 경유, 무엇이 더 빠를까?
만약 개인정보 삭제와 같이 법적 근거가 명확한 요청이라면, 중간 기관을 거치기보다 해당 서비스(예: 와이즈유저)에 직접 요청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효율적입니다. 온라인피해365센터는 직접적인 처리 권한이 없어 결국 관련 기관으로 연결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죠.
구분 | 서비스 기관에 직접 요청 | 온라인피해365센터 경유 |
---|---|---|
처리 속도 | 법적 의무 시 즉시 처리 (빠름) | 상담 → 연계 → 재검토 (지연) |
처리 권한 | 직접적인 처리 권한 보유 | 상담 및 연계 역할만 수행 |
성공 가능성 | 법적 근거 명확 시 높음 | 동일한 법적 검토 과정을 거침 |
핵심만 쏙쏙! 한눈에 보기 📝
선탑재 앱 삭제 핵심 요약
이제 불필요한 선탑재 앱과 작별하고 쾌적해진 스마트폰을 마음껏 즐겨보세요!😊